본문 바로가기
돈테크

<2편> IRP ETF 추천 & 실제 포트폴리오 구성법

by 빛으로 나아가다 2025. 10. 12.
IRP ETF 추천 & 실제 포트폴리오 구성법

📊 IRP ETF 추천 & 실제 포트폴리오 구성법

IRP 계좌에서도 ETF 투자가 가능하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연금저축·IRP의 절세 혜택은 유지하면서 ETF로 운용하면 세금과 수익,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습니다.

👉 이전 글: 연금저축·IRP 절세 완벽 가이드 — 세금 최대 115만 원 아끼는 법
👉 다음 글: 직장인 연말정산 절세 루틴 (실전 가이드)

1️⃣ IRP로 ETF를 운용하는 이유

IRP는 근로자가 퇴직금이나 추가 납입금을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. 일반 계좌와 달리, ETF 매매 시 발생하는 배당소득세가 즉시 부과되지 않고 과세이연되어 복리효과가 커집니다.

💡 예시: 동일한 ETF를 일반계좌와 IRP에서 10년 운용 시, IRP의 세후 누적 수익률이 약 8~10% 더 높게 나타납니다.

2️⃣ IRP에서 매수 가능한 ETF 종류

모든 ETF가 IRP에서 매매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. IRP는 퇴직연금용 상품만 편입할 수 있기 때문에, 아래와 같이 **퇴직연금 전용 ETF** 혹은 **일부 대형 운용사 ETF** 위주로 구성됩니다.

종목명운용사특징
KODEX 200삼성자산운용국내 대표 지수 추종 ETF
TIGER 미국S&P500미래에셋자산운용글로벌 대형주 분산 투자
KINDEX 200TR한국투자신탁운용총수익지수(TR) 추종, 배당 포함
TIGER 배당성장미래에셋자산운용배당 증가율 높은 기업 중심

3️⃣ 실제 IRP ETF 포트폴리오 예시

  • 국내 지수형 ETF: 40%
  • 미국 S&P500 ETF: 40%
  • 배당성장형 ETF: 20%

위 구성은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**안정적 장기 수익률**을 목표로 한 예시입니다. 만약 연금 개시 시점이 10년 이상 남았다면 해외 비중을 50%까지 높이는 것도 괜찮습니다.

4️⃣ IRP 리밸런싱(비중 조정) 주기

ETF는 주가 변동으로 인해 비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따라서 6개월~1년에 한 번 정도 리밸런싱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 예를 들어 S&P500 비중이 급등하면 일부를 매도해 KODEX 200 등으로 재분배하세요.

💡 팁: IRP에서는 ETF 매매 시 세금이 이연되므로 리밸런싱을 자주 해도 과세 부담이 없습니다.
✅ 오늘의 실행 루틴
1) IRP 계좌 내 ETF 리스트 확인
2) 국내/해외 지수 ETF 2~3종 선택
3) 자동이체 설정으로 꾸준히 적립